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활치료사의 정보공유53

보행이상 병적보행에 대하여 1.근육약화로인한보행이상 병적보행 보행에 장애가 있는 질병은 병리학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비정상적인 보행기전은 네 가지의 기능적인 특성으로 나누어집니다. 1.기형 기형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구축(contracture)입니다. 발목의 발바닥쪽굽힘 구축은 다리가 앞으로 나아가가지 못하고 끌리는 보행을 만들어냅니다. 무릎관절구축은 넙다리가 나아가는 것을 억제하고 무릎관절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근육활동을 증가시킵니다. 엉덩관절의 안정성은 떨어지고 몸통은 수직선의 앞쪽에 놓이게 됩니다. 이것은 등과 엉덩관절 폄근에 긴장을 줍니다 고유수용성 감각손상 또한 환자가 바닥에 발이 접촉하는 형태나 위치, 체중의 전달을 알지 못해 보행이상이 있습니다. 2.근의 약화 (muscle weakness) - 엉덩관절폄근 보행(gluteus maximus .. 2022. 5. 22.
보행주기 기능적인보행분석 (ankle and foot) 보행의 개념 비정상 보행을 이해하기 위하여 정상보행은 환자의 보행에 대한 표준을 제공하기 때문에 먼저 정상보행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상이라는 용어는 남녀노소나 광범위한 여러가지 신체적 조건을 포함하기 때문에 적절한 대상에 대한 기준을 선택하여야합니다. 걸음(Walking) 은 발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움직이기 위하여 교대로 두 다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한 방법이고 보행은 복잡한 활동으로 걸음의 한 방법이나 형태입니다. 즉, 입각기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몸통을 앞쪽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되풀이하는 다리의 운동으로 몸의 중심이 부드럽게 앞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보행은 각각과 운동기능의 통합을 요구하는 조화된 행동입니다. 대부분의 병적 보행패턴과 비교하여 볼 때 정상적인 걸음의 특.. 2022. 5. 21.
팔을올리면아파요 회전근개파열 Rotator Cuff 회전근개란? (근육둘레띠, Rotator Cuff ) 위 사진처럼 위팔뼈의 둥근모양의 머리부분이 어깨뼈의 오목한 부분에 접합하는 관절면을 이루고 있습니다. 절구관절이라고 하는데 우리몸에서 절구관절은 어깨관절, 엉덩관절(고관절) 입니다. 고관절(엉덩관절)에서는 더 많은 접합면적과 5개의 인대로 어깨관절보다 높은 안정성이 있지만, 어깨관절은 안정성은 적으나 더 큰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위팔뼈와 어깨뼈에 안정성을 지지해주는 구조물이 회전근개 (rotator cuff) 입니다. 회전근개는 어깨세모근에 의한 위쪽 전위력을 상쇄하고, 위팔뼈머리를 어깨뼈밑오목에 밀착시켜 어깨위팔관절의 안정성에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회전근개의 손상은 어깨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불안정성을 일으키게 됩니.. 2022. 5. 20.
특발성척수탈출증 특발성척수탈출증이란? 흉추부의 척수(Thoracic spinal cord) 가 전방의 경막결손 (Ventral dural defect)를 통하여 경막밖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되는 드문 질환으로 자발성 척수탈출증으로도 불리기도합니다.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증가되면서 MRI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최근 10년 이내에 많은 사례가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병태생리, 자연경과, 수술 방법 및 결과에 대해서는 여러 의문과 논란도 발생했습니다 척수탈출증은 외상성/의인성/특발성으로 발생될수 있으며, 외상성과 의인성 척수탈출증은 경막 손상이 전방보다는 후방에서 대부분 발생되므로 주로 후방으로 나타나며 경추부와 흉추부 사이에서 일어나지만, 특발성 척수탈출증은 전방 경막 결손을 통하여 전방으로 척.. 2022.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