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4

어린이 척추측만증 - 잘못된자세습관고치기 오늘은 척추측만증에 대해서 조금 더 심화된 내용을 말씀드리려합니다! 어린이 척추측만증 자세습관 어린이의 자세습관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합니다 우리는 서있거나, 앉아 있을 때 또는 누워있을 때의 다양한 자세가 있는데요 . 어린이들은 뭔가를 쓰기위해 혹은 숙제를 하기위해, 책상에 앉아 오른손잡이인 어린이들은 종이는 비스듬히 돌려져 있고, 오른쪽 어깨는 약간 앞으로 나와있으며, 상체는 다소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요. 아니면 바닥이나 침대에 옆으로 누워서 무언가를 하는 경우엔 오른손잡이 어린이들은 오른손으 글씨 쓰기에 자유롭도록, 아니면 책장을 넘기기 쉽도록 왼쪽으로 누워있을겁니다. -> 이러한 자세는 척추의 좌측만곡을 유발합니다. 자세습관 예 또한 책가방을 왼쪽 어깨에 메고 계속 .. 2022. 5. 28.
신경손상으로 인한 질환 신경손상으로 인한 증상 외상은 신경에 압박을 가하는 외력으로부터 발생하는데요. 신경압박 1. 요골신경, 정중신경 압박 : 양쪽겨드랑이에 짚는 지팡이(목발)로부터 마비가 발생합니다. 2. 요골신경, 정중신경 또는 척골신경 : 압박붕대로부터 마비가 발생합니다. 3. 정중신경 : 손을 위로하고 누운 자세나 손을 내전(모음,adductor) 시킨 채 옆으로 누워 자는 등 여러 수면자세로부터 발생합니다./ 수근관증후군 4. 척골신경 : 팔꿈치의 외상으로부터 마비가 발생합니다. 5. 척골신경 및 정중신경 : 소지구와 모지구에 가해지는 갑작스럽고 반복된 외상으로부터 마비가 발생합니다. 6. 전골간신경: 전완의 삼각건으로부터 마비가 발생합니다. 7. 상완신경총 : 어깨에 걸린 가방끈으로 부터 마비가 발생합니다. 8. 비골신경 : 깁스나 양말.. 2022. 5. 26.
상지근육과 상지신경 과사용증후군 상지손상보존적치료 과사용손상 overuse injuries 과사용손상은 허용된 조직의 내성을 초과하는 장시간의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됩니다. 허용된 시간은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힘이 필요할 때 대상자의 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더 짧아지는데요. 장시간 지속적인 활동을 하게되면 과사용으로 인한 손상은 근육, 건 또는 관절낭의 과민상태 또는 손상을 일으키고 나아가서는 통증과 염증을 유발합니다. 상지의 관절과 근육은 과사용 손상으로 인해 매우 손상받기 쉽습니다. 반복적인 손과 팔의 움직임은 개인의 직업적인 도는 여가활동으로 인한 행동과 연관되어 다양한 긴장, 염증반응 또는 신경이 서서히 약화되는 상태를 발생시킵니다. 과사용손상은 미국에서 장애로 인해 수동식 휠체어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2,300만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수많.. 2022. 5. 25.
시상 Thalamus 구조 및 기능 2 시상하부기능 시상뇌졸중증상 시상의 손상 시상은 시상그물핵을 제외한 모든 시상핵은 대뇌겉질의 특정부분과 연결됩니다 대부분 혈액공급은 뒤내의동맥의 작은가지들이 혈액공급을 합니다. 시상의 손상은 대부분 혈관손상에 의해 발생됩니다. - 앞가쪽부분손상 : 중추성 통증 혹은 시상통증 유발 - 뒤부분의 광범위한 손상 : 반대쪽 머리와 몸의 체성감각소실 또한 시상은 BG와 변연계limbic system 과도 많은 연결을 하고있으며, 이들은 cortex의 광범위한 부위에서 계획하고 서로 많은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연합핵은 큰 겉질영역들을 상호연결하는데, 연합핵에서 나오는 축삭은 대뇌겉질로 가며 같은 대뇌겉영역에서 나오는 축삭은 연합핵으로 연결됩니다. 연합핵은 감정과 일부 기억정보를 처리하거나 여러가지 형태의 감각정보 즉 촉각과 시각 같은 정보를 .. 2022. 5. 24.
반응형